이별 후유증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최소 11주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. 미국 몬머스 대학 연구진이 성인 남녀 155명 관찰·분석 결과, 실연을 당한 연인 10명 중 7명이 이별 후 11주가량이 지나서 후유증을 벗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.

이별 후유증
이별과 마주한 사람들은 전에는 겪어보지 못했던 이별 후유증을 경험한다. 즉 이별 후에 다양한 감정과 행동을 경험하게 된다. 실연을 당한 사람들은 대개 비슷한 감정을 느끼고 유사한 행동을 하게 된다.
일본의 사회심리학자인 가토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별 후 사람들이 느끼는 감정과 자주 하는 행동에 대해 조사했다. 물론 인간의 마음은 나이에 따라 표현하는 방식이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은 비슷한 반응을 보인다.
<실연 후 느끼는 감정과 자주 하는 행동들>

이별 후 행동
이별 후유증으로 실연을 한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행동은 역시 떠나간 사람을 잊지 못하는 것이다. '시도 때도 없이 생각난다(46.6%)', '상대를 좀처럼 잊을 수가 없다(37.3%), '떠난 사람을 더 이상 생각하지 말아야겠다고 다짐한다(25.8%)' 등이 이에 해당되는 행동들이다. 그동안 함께 했던 사람에 대한 생각은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아무 때나 불쑥 떠오르게 된다.
그래서 실연을 당한 사람들은 상대를 잊으려고 다른 일에 몰두하거나(23.4%), 상대와 만나는 것을 의도적으로 피하기도 해 보지만(29.8%), 헤어진 후에도 떠나간 사람에 대한 사랑이 더 강해지기도 하고(28.2%), 엉뚱한 사람을 떠난 사람이라고 착각하기도(18.7%) 한다. 결국 잊는 것을 포기하고 떠난 사람이 보내주었던 편지나 사진을 보며 옛 추억에 잠기는가 하면(15.5%), 그 사람을 알고 있는 다른 사람과 그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기도(21.4%) 한다.
그러나 헤어진 사람이 만가고 있을 때보다 더 멋있게 느껴지기도(15.5%) 하면서 예전의 좋았던 시절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이 생겨 재회하고 싶은 마음도 생기기도 한다(19.8%). 하지만 그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는 데는 그리 오래 걸리지 않는다.
결국 목소리라도 한번 들어보려고 전화를 걸어보고(8.7%), 상대의 집 주변도 서성거려보고(6.3%), 자주 데이트했던 장소도 찾아가보지만(7.9%) 이러한 행동은 실연의 고통만 깊게 할 뿐 실연을 극복하는 데는 아무런 도움이 안 되는 것이다.
이별 후 감정
이별 후유증으로 실연을 한 후 감정은 슬프거나(41.3%), 괴롭다(27.4%)는 반응이 많아진다. 일단 헤어지고 나면 당분간은 관계 회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슴이 찢어지도록 아프고(26.2%), 억울한 마음도 들고(25.4%) 비참해 진다. 그러다 보니 울고불고 추태를 부리기도 하고(10.7%), 술을 자주 마시면서(7.5%) 실연의 고통을 잊어보려고도 한다.
실연 후 한동안 무기력에 빠지기도 하고 모든 의욕이 사라져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는 사람(19.4%)도 있고, 식욕이 없어지고 잠도 오지 않는 경우(12.4%)도 많다. 억지로 잠을 청해 보지만 꿈속에서도 떠난 사람이 나타나(14.3%) 더 괴로워하는 사람들도 있다.
실연 후 초기에는 헤어졌다는 사실 자체가 믿어지지 않고(9.5%), 전화벨이 울리면 혹시 그 사람이 아닐까 하는 마음이 들 정도(22.2%)로 미련을 놓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. 결국 헤어진 것이 내 탓인 것 같아 깊이 반성도 하고(27.8%), 상대방에게 속죄하고 싶은 마음(18.6%)이 들기도 한다.
하지만 마음과는 달리 떠나간 사람은 돌아오지 않는다. 이 사실을 확실하게 인식하게 되면 상대가 원망스럽고 분노를 느끼게 되고(6.7%), 그 결과 이별 초기에 그토록 멋있어 보인던 그 사람에게 환멸감을 느끼는 단계(17.9%)로 접어들게 된다.
실연한 사람들은 위 표와 같이 행동과 감정들을 다 경험할지도 모른다. 슬픔과 아쉬움, 분노가 뒤섞인 감정에 사로잡히고 한동안은 슬픔과 분노로 잠을 못 이루게 될 수도 있다.
이별 후유증, 실연 후 느끼는 감정은 매우 복잡하고 복합적이다. 그만큼 온갖 생각들로 어려운 시간을 갖게 되는 것이다. 그러나 혼자만 힘들어하지 말고 오히려 실연 후에 찾아온 감정들에 충실해보는 것이 필요하다.
'심리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기사랑10분수업 (자기이해, 내면아이, 무의식) (0) | 2023.02.25 |
---|---|
내담자를 돕는 상담자의 활동(feat. 상담심리학) (1) | 2022.10.25 |
이별 극복 (feat. 실연 극복 기간과 방법) (1) | 2022.10.19 |
게슈탈트 상담기법 (feat. 자각, 알아차림의 향상) (0) | 2022.10.14 |
사랑의 유형 (사랑의 색채 이론) (0) | 2022.10.11 |
댓글